본문 바로가기
청년 생존 매뉴얼

가족돌봄청년 39세까지 지원 확대! 심리상담부터 자립 프로그램까지 🧠

by pikmi 2025. 5. 23.

 

가족을 돌보느라 자신의 시간을 포기한 채 하루하루를 버텨온 청년 여러분,
혹시 스스로를 ‘나만 그런 건가’ 하고 숨기고 계셨던 건 아닌가요?

이제 돌봄을 책임진 청년들도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.
서울시가 2025년부터 가족돌봄청년 지원 연령을 39세까지 확대하면서,
더 많은 분들이 심리상담, 자립지원 등 필요한 도움을 제도 안에서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.

오늘 포스팅은 여러분에게 작은 숨구멍이 되길 바라며,
지원 대상, 신청 방법,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.
혼자 하지 않아도 됩니다. 이제는 함께할 수 있어요.

 

AI 생성 이미지

🎬 미리보기

  • 가족돌봄청년이란?
  • 무엇이 바뀌었나요? (2025년 조례 개정 핵심)
  •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?
  • 신청 조건 및 대상 요약
  • 신청 방법과 문의처
  • 함께 보면 좋은 연계 제도

👪 가족돌봄청년이란?

‘가족돌봄청년(영 케어러, Young Carer)’은
가족 내에서 간병이나 돌봄 책임을 지고 살아가는 청소년 및 청년을 말합니다.

주요 돌봄 대상은 다음과 같아요:

  • 질병, 장애, 노화로 도움이 필요한 부모님
  • 중독 또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가족
  • 의사소통이 어려운 형제자매

이러한 상황은 학업, 진로, 사회적 관계, 심지어 자립까지 영향을 끼치게 되죠.
그래서 국가나 지자체의 제도적인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계층입니다.


🆕 무엇이 바뀌었나요? (2025 조례 개정 핵심)

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지원 조례가 2025년부터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어요.

 

항목 기존 2025년 변경
지원 연령 9세 이상 ~ 34세 이하 9세 이상 ~ 39세 이하
제대군인 특례 미포함 의무복무 고려 시 +최대 3세 연장 가능
명칭 변경 가족돌봄청년 가족돌봄청소년·청년
지원 내용 심리상담 중심 심리·정서, 자립역량, 커뮤니티 연계 확대

 


🌱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?

서울시복지재단은 다양한 맞춤형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.

🧠 심리·정서 지원

  • 심리상담 전문가와의 1:1 상담
  • 소그룹 힐링 워크숍
  • 정서 회복 프로그램 운영

🪴 자립역량 강화

  • 진로 설계 및 직업 역량 코칭
  • 자립을 위한 실질 정보 제공 (금융, 주거 등)
  • 커뮤니케이션 및 대인관계 훈련

🫶 커뮤니티 참여 프로그램

  • 가족돌봄청년 네트워크 ‘영케미’ 참여
  • 또래 경험공유 모임 및 정책 제안 기회 제공

신청 조건 및 대상 요약

조건 내용
연령 9세 이상 ~ 39세 이하
거주지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자
돌봄 책임 가족 중 질병·장애·중독 등으로 돌봄 필요
제대군인 특례 의무복무 고려 시 +3세까지 지원 연장 가능

 

📝 신청 방법 및 문의처

  • 공식 누리집: 서울시복지재단
  • 전화 상담: 1668-0120
  • 가족돌봄청년 지원팀 직통: 02-6353-0336~9

신청은 수시 접수이며, 연중 상담 및 연계 가능한 프로그램도 상시 운영 중이에요.

 


📎 함께 보면 좋은 제도

정책명 내용 대상
청년 마음건강 바우처 전문 심리상담 10회 무료 만 19~34세 청년
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 3개월간 월 30만 원, 취업 시 성공금 30만 원 추가 서울 거주 미취업 여성
청년자립지원금 월 최대 60만 원 자립자금 지원 보호종료청소년, 위기청년

 

AI 생성 이미지

🎤 오늘의 생존 멘트

“돌봄으로 멈췄던 내 시간이,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.
내 삶도 챙길 자격이 충분히 있어요.”